오늘은 VanEck가 운용하는 ETF 중 베트남에 투자하는 ETF인 , VNM ETF에 대해서 알아보려합니다.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빠른 성장세를 보였으며 인구도 1억이 넘는 베트남은 국내에서도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나라입니다.
그래서 베트남에 투자하는 VNM ETF에 대해 알아보려합니다.
VNM의 개요
◆ 발행사
: VanEck
◆ 상장일
: 2009. 08. 14
◆ 수수료
: 0.66%
◆ 규모
:560.16M
◆ 하루 거래량
: 4.23M
◆ 추종지수
: MVIS Vietnam Index
◆ 보유주식 종류
: 37개
◆배당율
: 0.54% (연배당)
◆최근주가
: 15.83$
1. 베트남에 특화된 ETF로서 베트남 주식시장을 시총 순으로 ETF에 편성하여 베트남에 투자하는 유일한 ETF
2. 베트남에 있는 회사 뿐 아니라 해외에 있는 기업도 수익의 50%이상을 베트남에서 내는 회사도 VNM ETF에 편성함으로써 다른 지역에 있는 기업 뿐 아니라 여러 섹터에 대해 투자 가능
3. 각각의 기업은 시총 순으로 편성되어 있으며 각 기업은 최대 8%를 넘기지 않도록 하고 있고 분기별로 검토되어 베트남에 집중하여 투자할 수 있는 ETF
참고 자료로서 베트남의 주식 인덱스인 VN 지수입니다. 호치민 주식거래소에 상장되어있는 모든 주식에 대한 인덱스로 10년치의 주가지수로 횡보장도 있지만 전체적으로는 우상향 그래프입니다. 2007~8년에는 한창 동남아시아 투자 열풍이 불다가 리먼브라더스 사태로 버블이 급격히 빠진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년간 주가 추이
다음은 1년간의 주가추이입니다. 주가는 꾸준히 완만하게 우상향하는 모습을 모이고 있습니다.
1년 간 주가는 약 33%상승하였습니다. 그렇다면 같은 기간 VN지수는 어떤 지 살펴보겠습니다.
같은 기간 VN지수입니다. 약 46%정도의 주가 상승을 보였습니다. 현재 VN지수를 추종하는 VNM ETF가 약 13%정도 언더퍼폼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 이유에 대해서는 나중에 살펴보겠습니다.
좀 더 기간을 길게 잡고 주가의 흐름을 살펴보겠습니다.
VNM ETF가 상장한 2009년부터의 주가흐름입니다. 전체적으로는 하향세를 그리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VN지수는 어떤지 살펴보겠습니다.
같은 기간 VN지수입니다. 베트남에 대한 관심도 증가 및 베트남 국민들의 주식에 대한 관심 및 투자 증가로 살펴보면 2009년 530정도였던 지수가 1342로 거의 2.5배정도 성장하였습니다. 하지만 같은 기간 주가는 25$에서 20$로 오히려 떨어졌는데요 이유는 크게 2가지로 나누어 살펴보겠습니다.
1. VNM ETF가 추종지수와의 일치성 정도
먼저 VNM ETF의 수익률과 추종지수인 MVIS Vietnam index와의 추종정도를 살펴보겠습니다. ETF가 추종지수를 잘 추종하는지 오버퍼폼인지 언더퍼폼인지를 살펴보아 격차의 정도를 살펴보겠습니다.
하늘색이 VNM ETF
남색이 MVIS Vietnam index(추종 인덱스)
이때 현재 추종 인덱스인 비교 인덱스가 거의 비슷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기간을 좀 더 길게 잡아보겠습니다.
결과를 길게 잡으니 다른 결과가 나오는군요. 현재 보면 회색이 베트남 VN지수이나 추종지수인 MVIS Vietnam index가 VN지수를 잘 추종하지 못하고 언더퍼폼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즉, 첫번째로 추종지수인 MVIS index가 현재 베트남주가지수를 제대로 추종하지 못하고 있고 이것이 베트남 주가지수와 VNM ETF의 주가 차이의 첫 번째 이유입니다.
2. 베트날 동과 달러의 환율
다음은 베트남 동 대비 달러의 환율을 나타낸 그래프입니다. 보면 장기적으로 우하향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데요, 이는 달러로 베트남에 투자하는 입장에서는 투자수익이 감소하는 직접적 원인이 됩니다.
상장 당시 1동 = 0.000056$이나 현재는 0.000044$로 27%가까이 동의 가치가 떨어졌습니다.
바꾸어말하면 비록 주가지수는 2.5배 증가했어도 같은 기간 화폐가치는 27%하락했다는 것입니다.
백테스트 결과
포트폴리오1이 VNM
포트폴리오2가 VOO(시장수익률)
기간은 2011~2020년까지의 기간입니다.
비록 과거의 성적이 미래의 성적을 보장하지
않지만 무시하지는 못하는 데이터입니다.
VOO | VNM | |
최대낙폭 | -19.58% | -56.96% |
연평균수익률 | 14.54% | -0.92% |
수익률 최악의 해 | -4.5% | -43.82% |
수익률 최고의 해 | 32.39% | 38.55% |
전체적인 성적이 그다지 못합니다. 신흥국 시장에 투자할 때는 환율문제가 크다보니 환율을 잘 생각해서 투자해야할 듯 싶습니다.
최종적으로도 VOO ETF가 수익은 좋습니다.
최종 수익
VOO 41,136$
EWZ 9,058$
포트폴리오 구성
다음은 국가별 포트폴리오 구성비율입니다. 베트남 기업이 70%로 대다수이며 뒤를 이어 베트남에서 50%의 수익을 올리는 기업의 국가는 대만이 12.7% 뒤를이어 한국이 12%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섹터별로 살펴보면 금융이 41%로 대다수를 차지하며 필수소비재가 18%, 경기순환재가 13.6%입니다.
1등은 마산그룹으로 8.36%이고 뒤를 이어 베트남 낙농업 회사인 비나밀크가 7.78%, 빈그룹의 빈홈즈가 6.89%, 빈그룹이 6.67%로 전체적으로 베트남의 대기업인 빈그룹이 많이 포함되어있습니다.
→ Value : 저평가 주식에 투자하여
초과수익을 도모하는가?
: 평균
→ Low Size : 중소기업에 투자하여
초과수익을 도모하는가?
: 그런 편
→ Momentum : 과거부터 지속적으로 상승해
온 주식에 투자하는가?
: 평균
→ Quality : 우량주에 투자하는가?
(부채비율, ROE 등등 고려)
: 평균
→ Yield : 배당에 집중하는가?
: 평균
→ Low Volatility : 저 변동성인가?
: 평균
배당금
10개년치의 배당급지급내역입니다. 전체적으로 우하향하는 그래프입니다.
배당률동안 코로나 당시 1.5%인 것을 제외하고는 현재 0.36%로 수수료도 안되는 배당금입니다.
'ETF 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필리핀 주식에 투자하는 ETF, EPHE ETF 총 정리 (필리핀ETF) (0) | 2021.09.24 |
---|---|
인도네시아 주식에 투자하는 ETF, EIDO ETF 총 정리 (인도네시아ETF) (0) | 2021.09.22 |
[미국 ETF정리] 싱가포르에 투자하는 ETF, EWS ETF 총 정리 (싱가포르ETF) (0) | 2021.09.19 |
[미국 ETF정리] 신재생에너지 ETF, ICLN ETF 총 정리 (0) | 2021.09.19 |
[미국 ETF정리] 우주항공, 방산업체 ETF, ITA ETF 총 정리 (0) | 2021.0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