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iShares가 운용하는 ETF 중 필리핀에 투자하는 ETF인 , EPHE ETF에 대해서 알아보려합니다. 필리핀은 제 2의 성공을 꿈꾸고 가는 동남아 국가 중에서도 많은 한국인이 가는 곳인데요, 물가도 저렴하고 중위연령이 낮아 성장 가능성이 높은 국가입니다.
필리핀 주식 투자할 수 있는 방법이 많지 않은 관계로 이러한 ETF를 이용하는 것도 추천드립니다.
EPHE의 개요
◆ 발행사
: Blackrock
◆ 상장일
: 2010. 09. 28
◆ 수수료
: 0.59%
◆ 규모
:125.98M
◆ 하루 거래량
: 2.13M
◆ 추종지수
: MSCI Phillippines IMI 25/50 Index
◆ 보유주식 종류
: 38개
◆배당율
: 0.94% (반기배당)
◆최근주가
: 30.19$
1. 필리핀 주식시장에 대해 투자하는 유일한 미국 ETF
2. 필리핀 주식에대해서만 투자하고 있고 분기별로 리밸런싱되고 있다.
3. 한 개의 기업이 25%를 초과할 수 없도록 비중을 조절하고 있으며, 상위 5%기업이 전체 비중의 50%를 넘지 않도록 조정하고 있다.
참고 자료로서 필리핀의 주식 인덱스인 PSEI Composite 지수입니다. 2008년 당시 폭락을 한 뒤 급격히 주가지수가 상승한 뒤 현재는 코로나 이전 주가지수를 아직 회복하지 못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1년간 주가 추이
1년간 주가추이입니다. 살펴보면 11월 달에 급등한 이후 우하향하는 모습을 보이다가 도중도중 급등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현재 우상향하는 미국장과 비교해보았을 때 상당히 차이나는 부분이며 근처 동남아 국가와도 다른 주가 횡보를 보이고 있습니다.
같은 기간 필리핀 주가 지수입니다. EPHE ETF와 상당한 비슷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필리핀 주식이 저 때 가격이 급등한 이유를 살펴보겠습니다.
11월 부터 조 바이든 대통령의 선거 당선과 모더나 및 화이자 같은 백신 공급에 따른 경기회복의 기대감이 높아졌고 특히 아시아 지역의 경기회복의 기대감이 높아짐에 따라 480억 달러에 달하는 외국자산이 아시아 증시로 들어왔습니다.
이러한 유동성 랠리 속에서 필리핀을 포함한 동남아시아 증시가 급등한 모습을 보여줍니다.
그 이후는 델타변이 등의 확산 등으로 경기회복이 더뎌짐에 따라 주가가 다시 빠진모습을 보여줍니다.
좀 더 장기간의 주가를 살펴보겠습니다.
5개년 치의 EPHE ETF의 주가그래프입니다. 전체적으로 보면 횡보장인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같은 기간 필리핀 주가지수도 거의 비슷한 모습을 보여줍니다.
하지만 필리핀 주가지수는 코로나 대비 88%를 회복한 모습을 보여주나 EPHE ETF는 91%를 회복한 것으로 보여지면서 ETF가 오버퍼폼한 듯한 모습을 보여줍니다.
이러하 듯 달러로 외국주가에 투자하면 주가지수와 주가그래프가 불일치하는 경우가 있는데요
그 원인에 대해 2가지로 나누어 한 번 살펴보겠습니다.
1. EPHE ETF가 추종지수와의 일치성 정도
먼저 EPHE ETF의 수익률과 추종지수인 MSCI Phillippines IMI 25/50 Index와의 추종정도를 살펴보겠습니다. ETF가 추종지수를 잘 추종하는지 오버퍼폼인지 언더퍼폼인지를 살펴보아 격차의 정도를 살펴보겠습니다.
하늘색 선이 MSCI Phillippines IMI 25/50 Index(추종 인덱스)
남색이 EPHE ETF
회색이 MSCI Phillippines IMI index(비교 인덱스)
이때 현재 추종 인덱스인 비교 인덱스가 거의 비슷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기간을 좀 더 잡으면 결과를 한 번 살펴보겠습니다.
살짝 언더퍼폼이지만 이는 모든 기업이 ETF에 반영이 안되다보니 어쩔 수 없는 결과이고 사실상 비슷하므로 ETF의 퍼포먼스 자체가 지수와 주가사이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2. 필리핀 페소와 달러와의 환율
다음은 필리핀 환율을 살펴보겠습니다. EPHE ETF는 달러로 투자를 하다보니 필리핀 페소를 달러로 전환되기에 환율이 중요합니다.
다음은 5개년치의 필리핀 페소 환율입니다. 1페소가 가지는 가치가 209년을 기점으로 계속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최저점에서 1peso = 0.019$였지만 최고점에서는 1peso = 0.021$로 10%정도 화폐가치가 상승했습니다.
즉, 똑같은 100페소가 19$에서 21$로 증가하면서 EPHE ETF의 주가도 주가지수 대비 최대 10%정도 높게 형성된 것입니다.
3년간 투자했을 때 연간 수익률은 0.45%
5년간 투자했을 때 연간 수익률은 -3.05%
10년간 투자했을 때의 연간수익률은 3.14%
10년 간 평균 연간 이자율이 3.14%
백테스트 결과
포트폴리오1이 EPHE
포트폴리오2가 VOO(시장수익률)
기간은 2011~2020년까지의 기간입니다.
비록 과거의 성적이 미래의 성적을 보장하지
않지만 무시하지는 못하는 데이터입니다.
VOO | EPHE | |
최대낙폭 | -19.58% | -43.02% |
연평균수익률 | 14.54% | 2.59% |
수익률 최악의 해 | -4.5% | -17.50% |
수익률 최고의 해 | 32.39% | 47.93% |
최종적으로도 VOO ETF가 수익은 좋습니다.
최종 수익
VOO 41,136$
EPHE 13,132$
필리핀 주식보다는 미국주식이 더 수익률이 좋았네요
포트폴리오 구성
필리핀 주식에 100%를 투자하고 있습니다.
각 섹터별로 살펴보면 금융이 44%로 대다수이고 그 뒤를 이어 필수소비재, 산업재, 경기순환재순으로 구성되어있습니다.
세부기업을 살펴보면 SM 프라임 홀딩스라는 그룹이 10.4%를 차지하는 데 모회사인 SM investment도 7.2%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뒤를 이어 아얄라랜드는 필리핀 부동산 회사로 8.17%를 차지하고 모회사는 Ayala도 6.73%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 Value : 저평가 주식에 투자하여
초과수익을 도모하는가?
: 평균
→ Low Size : 중소기업에 투자하여
초과수익을 도모하는가?
: 평균
→ Momentum : 과거부터 지속적으로 상승해
온 주식에 투자하는가?
: 아닌 편
→ Quality : 우량주에 투자하는가?
(부채비율, ROE 등등 고려)
: 평균
→ Yield : 배당에 집중하는가?
: 평균
→ Low Volatility : 저 변동성인가?
: 평균
MSCI등급도 BB등급으로 상위 5번째 단계입니다.
참고로 QQQ가 AA등급 , VOO는 A 등급입니다.
배당금
다음은 10개년치 배당금 지급내역으로서 1주당 대력 0.2~0.3$ 정도의 배당금을 지급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배당률인데 아직 배당문화가 자리가 덜 잡아서 그런지 배당률이 낮습니다. 수수료가 0.59%인데 배당률이 현재 주가가 낮아서 1%정도입니다. 그 전에는 0.6~0.7%이었습니다.
동남아시아 ETF 인도네시아 주식에 투자하는 ETF, EIDO ETF 총 정리 (인도네시아ETF) 베트남에 투자하는 ETF, VNM ETF 총 정리 (베트남ETF) 싱가포르에 투자하는 ETF, EWS ETF 총 정리 (싱가포르ETF) 인도에 투자하는 ETF, INDA ETF 총 정리 (인도 주식 투자) |
'ETF 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말레이시아 주식에 투자하는 ETF, EWM ETF 총 정리 (말레이시아ETF) (0) | 2021.09.26 |
---|---|
태국 주식에 투자하는 ETF, THD ETF 총 정리 (태국ETF) (0) | 2021.09.25 |
인도네시아 주식에 투자하는 ETF, EIDO ETF 총 정리 (인도네시아ETF) (0) | 2021.09.22 |
[미국 ETF정리] 베트남에 투자하는 ETF, VNM ETF 총 정리 (베트남ETF) (1) | 2021.09.21 |
[미국 ETF정리] 싱가포르에 투자하는 ETF, EWS ETF 총 정리 (싱가포르ETF) (0) | 2021.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