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F 소개

네덜란드 주식에 투자하는 ETF, EWN ETF 총 정리(ASML ETF)

곳곳의 여행지와 맛집 만나러 갑니다. 2022. 5. 25. 11:33

오늘은 iShares가 운용하는 ETF 중 네덜란드 ETF인 , EWN ETF에 대해서 알아보려합니다. 네덜란드 주식에 투자하고 싶다면 이번 ETF를 참고하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습니다. (ASML ETF)


EWN의 개요

◆ 발행사

: iShares

◆ 상장일

: 1996. 3. 12

◆ 수수료

: 0.50%

◆ 규모

: 340.96M (작은 편)

◆ 하루 거래량

: 10.64M (작은 편)

◆ 추종지수

: MSCI Netherlands IMI 25/50 Index

◆ 보유주식 종류

: 60개

◆배당율

: 1.37% (반기배당)

◆최근주가

: 38.16$

1. 네덜란드 주식시장에 대해 투자하는 유일한 미국 ETF

2. 네덜란드 중소기업까지 포함하는 전체 주식이 아닌, 대기업, 중대형 기업만을 시총 순으로 하여 ETF에 편성

3. 따라서 ASML같은 대형 기업의 비중이 높으며 따라서 거의 ASML ETF일 정도로 비중이 높다.

4. 1개의 기업이 그래도 25%를 넘지 않도록 조정하여 1개의 기업의 주가가 전체 ETF의 주가를 흔들지 않도록 조정

5. 분기별로 리벨런싱됨.

네덜란드 주식하면 생소하신 분도 많으실텐데 반도체 생산 기곌르 만드는 회사 ASML이 대표적인 네덜란드 회사입니다.

ASML에 투자하면서 위험성을 낮추는 ETF에 투자하고 싶거나, 네덜란드에 투자하고 싶다면 생각해볼 만한 ETF입니다.

참고 자료로서 네덜란드의 주식 인덱스인 AEX 지수입니다. 코로나 당시 폭락한 이후 계속 성장한 뒤 최근 전 세계적인 하락장에 맞추어 같이 떨어지고 있는 모습입니다.

1년 간 주가 추이

1년 간 주가추이를 살펴보겠습니다. 코로나 이후 21년 말까지 미국증시와 마찬가지로 횡보장을 거치다 최근 우크라이나 전쟁, 인플레이션 우려 등으로 주가가 급격히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현재 고점대비 약 30% 하락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같은기간 네덜란드 주가지수인 AEX지수를 살표보겠습니다.

같은기간 AEX 지수입니다.

보면 EWN ETF의 주가랑 다른 점이 보입니다. 먼저 AEX지수는 21년 5월부터 21년 11월 까지 약 16%가 성장한 모습을 보이는 반면 EWN ETF는 거의 횡보하는 모습을 보이녀 6%만 주가가 상승한 모습입니다.

또한, AEX 지수는 고점 대비 약 16%가 빠진 반면, EWN ETF는 거의 30%가 빠진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조금 더 기간을 길게 잡게 살펴봅시다.

다음은 EWN ETF의 5년치 주가그래프입니다. 코로나 이전에는 횡보하다가 코로나 이후 반도체 품귀현상으로 ASML의 주가가 급등하면서 ETF의 주가도 급등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코로나 직전과 비교해 제일 고점기준 55% 상승한 모습입니다.

같은 기간 AEX지수입니다. 거의 EWN ETF와 흐름의 차이는 없습니다. 하지만 상승의 정도가 차이가 나는데요

코로나 직전과 제일 고점기준 EWN은 55% 상승한 반면, AEX ETF는 32%만 상승했습니다.

즉, 우리기준으로 실제로 주가가 상승한 것보다 더 돈을 더 번 것이 됩니다.

이러하 듯 달러로 외국주가에 투자하면 주가지수와 주가그래프가 불일치하는 경우가 있는데요

그 원인에 대해 2가지로 나누어 한 번 살펴보겠습니다.

1. EWN ETF가 추종지수와의 일치성 정도

먼저 EWN ETF의 수익률과 추종지수인 MSCI Netherlands IMI 25/50 Index와의 추종정도를 살펴보겠습니다. ETF가 추종지수를 잘 추종하는지 오버퍼폼인지 언더퍼폼인지를 살펴보아 격차의 정도를 살펴보겠습니다

하늘색 선이 MSCI Netherlands IMI 25/50 Index(추종 인덱스)

남색이 EWN ETF

회색이 네덜란드 주가지수(비교 인덱스)

이때 현재 추종 인덱스인 비교 인덱스가 거의 비슷합니다.

따라서 ETF의 운용능력이 문제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2. 유로와 달러와의 환율

다음은 유로 환율을 살펴보겠습니다. EWN ETF는 달러로 투자를 하다보니 유로에서 달러로 전환되기에 환율이 중요합니다.

다음은 유로 대 달러의 환율입니다.

코로나 직전 2020년 2월과 주가 최고점인 21년 11월 사이의 상승의 정도 차이는 여기 환율의 차이가 있는데요 코로나로 인한 경제봉쇄, 실업자가 증가되자 무제한 양적완화를 실시했습니다.

이에 미국의 달러의 가치가 하락되어 1유로=1.07$에서 1.2$까지 증가하였고 이에 네덜란드 주가가 상승한거에 환율의 차이가 발생하여 EWN ETF가 더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예시로 기존 10유로주식을 1유로에 1달러일때 10달러인데, 20유로가 되었고 1유로에 1.1달러가 되었으면 구입 당시 환율이라면 10달러를 더 벌었을 텐데 환율의 차이로 1달러의 추가수익이 발생한겁니다.

3년간 투자했을 때 연간 수익률은 9.62%

5년간 투자했을 때 연간 수익률은 7.65%

10년간 투자했을 때의 연간수익률은 10.94%

 

백테스트 결과

포트폴리오1이 EMN

포트폴리오2가 VOO(미국 시장수익률)

기간은 2011~2020년까지의 기간입니다.

​비록 과거의 성적이 미래의 성적을 보장하지

않지만 무시하지는 못하는 데이터입니다.

 
VOO
EMN
최대낙폭
-19.94%
-32.50%
연평균수익률
11.08%
5.44%
수익률 최악의 해
-12.97%
-23.48%
수익률 최고의 해
32.39%
33.74%

미국 시장수익률이랑 비교했을 때 개인적으로 투자를 해야하는 큰 메리트를 못 찾았습니다.

최종적으로도 VOO ETF가 수익은 좋습니다.

배당금까지 재투자 시 최종 수익

VOO 32,890$

EMN 18,222$

포트폴리오 구성

국가는 네덜란드에 97%이고 네덜란드회사이나 본사가 미국인 회사가 2.6%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섹터별로 보면 전자기기 섹터가 25%인데 ASML입니다...

그 뒤로 기술, 금융 등등이 있습니다.

세부기업을 살펴보면 소수의 기업에 비중이 편중되어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ASML이 23%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인터넷 회사인 프로수스, 하이네켄도 보입니다.

→ Value : 저평가 주식에 투자하여

초과수익을 도모하는가?

: 평균

→ Low Size : 중소기업에 투자하여

초과수익을 도모하는가?

: 평균

→ Momentum : 과거부터 지속적으로 상승해온 주식에 투자하는가?

: 평균

→ Quality : 우량주에 투자하는가?

(부채비율, ROE 등등 고려)

: 평균

→ Yield : 배당에 집중하는가?

: 아닌 편 (아마존, 테슬라 배당금 적거나 없음)

→ Low Volatility : 저 변동성인가?

: 평균

MSCI등급도 AAA등급으로 상위 1번째 단계입니다.

ETF자체는 괜찮은 ETF입니다.

참고로 QQQ가 AA등급 , VOO는 A 등급입니다.

 

배당금

10년 간 분배금 지급내역입니다. ETF의 특성 상 여러 기업의 배당금을 종합해서 분배하다보니, 배당컷이 있는 회사도 있고해서 분배금이 들쑥날쑥합니다. 평균 0.2$ 정도입니다.

배당율은 최근 주가하락으로 1%대로 올라왔습니다. 가장 큰 비중으로 차지하는 ASML자체가 배당률이 0.8%대인만큼 배당률이 상승하기에는 힘들어보입니다.

국가 ETF 총 정리

유럽 ETF, 유럽주식에 투자하는 VGK ETF 총 정리(영국 주식, 프랑스 주식, 루이비통 주식)

아람코 주식을 살 수 있는 ETF, KSA ETF(사우디아라비아ETF)

말레이시아 주식에 투자하는 ETF, EWM ETF 총 정리 (말레이시아ETF)

태국 주식에 투자하는 ETF, THD ETF 총 정리 (태국ETF)

필리핀 주식에 투자하는 ETF, EPHE ETF 총 정리 (필리핀ETF)

인도네시아 주식에 투자하는 ETF, EIDO ETF 총 정리 (인도네시아ETF)

베트남에 투자하는 ETF, VNM ETF 총 정리 (베트남ETF)

브라질에 투자하는 ETF, EWZ ETF 총 정리 (브라질 주식 투자)

인도에 투자하는 ETF, INDA ETF 총 정리 (인도 주식 투자)

일본에 투자하는 ETF, EWJ ETF 총 정리 (일본 ETF, 도요타, 소프트뱅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