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Vanguard 운용하는 ETF 중 자유소비재에 투자하는 ETF인 , VCR ETF에 대해서 알아보려합니다. (아마존ETF, 테슬라ETF)
VCR의 개요
◆ 발행사
: Vanguard
◆ 상장일
: 2004. 1. 26
◆ 수수료
: 0.10%
◆ 규모
: 7.61B
◆ 하루 거래량
: 19.74M (장기투자자가 많음)
◆ 추종지수
: MSCI US Investable Market Consumer Discretionary 25/50 Index
◆ 보유주식 종류
: 292개
◆배당율
: 0.65% (분기배당)
◆최근주가
: 313.77$
1. VCR ETF는 미국 자유소비재 분야에서 시총 순으로 ETF에 편성하여 아마존ETF, 테슬라ETF가 되었다.
2. 자유소비재로 분류되는 기업을 포함하다보니 300개에 달하는 주식을 투자할 수 있다.
3. 그래도 독점을 막기 위해 1개 기업이 25%를 넘지 못하고 전체의 5%가 50%를 넘지 못하도록 조정 (아마존과 테슬라가 33%..)
4. 매 분기별로 리밸런싱되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섹터 재분류에 따라 빠지고 들어오는 기업이 있다.
5. 아마존과 테슬라에 집중투자하고 싶으면 VCR ETF에 주목! (맥도날드, 나이키 같은 주식도 있다.)
1년간 주가 추이
1년간 주가추이입니다. VOO ETF와 같이 계속 되는 미국 장세에 맞추어 주가는 꾸준히 상승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 1년은 계속 상승했기에 좀 더 장기적인 관점에서 바라보겠습니다.
다음은 5개년치의 주가그래프입니다. 2020년 코로나가 터지기 전에도 꾸준히 상승하며 좋은 성과를 내고 있는 ETF입니다. 그런데 갑자기 코로나 이후 주가가 급등을하며 일반 미국시장 수익률을 압도하는 성적입니다. 거의250%에 달하는 수익률입니다.
그 이유는 코로나 이후 비대면산업의 주가가 급등했는데 특히 아마존, 테슬라와 같은 신흥테크기업들의 주가가 치솟았는데 테슬라ETF, 아마존ETF인 VCR ETF도 그 혜택을 보았습니다.
VCR ETF가 상장한 이후 주가 그래프인데 꾸준히 우상향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잘 퍼폼하는 ETF입니다. 최근 주가가 비정상적으로 급등한 모습을 보이고 있긴합니다.
다음은 VOO ETF와의 수익률 비교를 간단하게 해보겠습니다.
최근 1개년 동안의 수익률은 VOO ETF와 VCR ETF가 비슷합니다. 그렇다면 좀 더 장기간으로 기간을 잡아보겠습니다.
다음은 5개년치를 비교해보았습니다. 코로나 이전에는 VOO ETF와 사실상 동일하거나 약간 오버퍼폼하는 정도였는데 코로나 이후 테슬라의 주가 상승 등으로 주가가 천정부지로 치솟았습니다.
현재 주가가 많이 올라있는 상태이지만 테슬라, 아마존이 앞으로 더 성장할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면 VOO ETF 대안으로 VCR ETF 구매하는 것도 추천드립니다.
테슬라만 사는 것이 부담스럽다면 이렇게 각 기업의 비중이 높아 테슬라ETF 또는 아마존ETF라고 불리우는 이러한 ETF를 사는 것도 위험부담을 줄이는 방법이라고 생각됩니다.
3년간 투자했을 때 연간 수익률은 24.01%
5년간 투자했을 때 연간 수익률은 22.03%
10년간 투자했을 때의 연간수익률은 20.21%
백테스트 결과
포트폴리오1이 VCR
포트폴리오2가 VOO(시장수익률)
기간은 2011~2020년까지의 기간입니다.
비록 과거의 성적이 미래의 성적을 보장하지
않지만 무시하지는 못하는 데이터입니다.
VOO | VCR | |
최대낙폭 | -19.58% | -24.04% |
연평균수익률 | 14.54% | 18.00% |
수익률 최악의 해 | -4.5% | -2.30% |
수익률 최고의 해 | 32.39% | 48.34% |
최근의 급등장으로 VOO ETF보다 좋은 성적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최종적으로도 VCR ETF가 수익은 좋습니다.
배당금까지 재투자 시 최종 수익
VOO 42,367$
XME 59,738$
포트폴리오 구성
미국에 100%를 투자하고 있습니다.
각 세부기업을 살펴보겠습니다.
테슬라,아마존ETF라고 불리는 것처럼
아마존 주식이 23.46%를 차지하고 뒤를이어
테슬라주식이 1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 외에도 홈디포, 나이키, 맥도날드, 스타벅스 등 배당금 잘 주는 유명한 기업들이
눈에 들어옵니다.
→ Value : 저평가 주식에 투자하여
초과수익을 도모하는가?
: 평균
→ Low Size : 중소기업에 투자하여
초과수익을 도모하는가?
: 평균
→ Momentum : 과거부터 지속적으로 상승해온 주식에 투자하는가?
: 평균
→ Quality : 우량주에 투자하는가?
(부채비율, ROE 등등 고려)
: 평균
→ Yield : 배당에 집중하는가?
: 아닌 편 (아마존, 테슬라 배당금 적거나 없음)
→ Low Volatility : 저 변동성인가?
: 아닌 편
MSCI등급도 BBB등급으로 상위 4번째 단계입니다.
참고로 QQQ가 AA등급 , VOO는 A 등급입니다.
배당금
다음은 10개년 동안의 배당금 지급내역인데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매우 긍정적으로 보입니다.
주가가 꾸준히 상승하고 있어 배당금은 성장해도 배당률은 1.2~3%대인데 현재는 0.63%입니다.
혁신기업 ETF ARKK ETF 총 정리 (테슬라 TSLA)
'ETF 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배당 월배당 ETF, 미국 우선주 ETF, SPFF ETF 총 정리 (0) | 2022.05.23 |
---|---|
알리바바ETF, 바이두 ETF로 알리바바 주식을 사보자, KWEB ETF 총 정리 (0) | 2022.05.22 |
삼성ETF, 한국ETF로 대기업 주식을 사자, EWY ETF 총 정리 (0) | 2021.10.12 |
미국 항공주 ETF, 항공사 주식을 사자 JETS ETF 총 정리 (1) | 2021.10.11 |
유럽 ETF, 유럽주식에 투자하는 VGK ETF 총 정리(영국 주식, 프랑스 주식, 루이비통 주식) (0) | 2021.1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