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KraneShares에서 운용하는 ETF 중 중국 IT기업에 투자하는 ETF인 , KWEB ETF에 대해서 알아보려합니다. (알리바바ETF, 바이두ETF)
![](https://blog.kakaocdn.net/dn/dtU9eE/btrCJbEsTus/uKKE9Y8qmsQGK1GJYffGm0/img.png)
KWEB의 개요
◆ 발행사
: CICC
◆ 상장일
: 2013. 7. 31
◆ 수수료
: 0.76%
◆ 규모
: 6.15B
◆ 하루 거래량
: 752.49M
◆ 추종지수
: CSI Overseas China Internet Index
◆ 보유주식 종류
: 49개
◆배당율
: 9.84% (연배당)(주가가 떨어짐에 따라 배당율이 높게 나오나 실제로는 2021년 배당률은 0.94%)
◆최근주가
: 26.94$
![](https://blog.kakaocdn.net/dn/cFspq0/btrCML5ROqK/DNy2rHdHhRp2kgYR7cnn9K/img.png)
1. KWEB ETF는 중국 IT기업 중 인터넷기업만을 시총 순으로 ETF에 편성한 ETF
2. 오로지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만을 반영해 하드웨어 생산 업체 등은 제외됨.
3. 인터넷 서비스 기업 뿐 아니라 소매, 상업 통신제공, 교육 서비스 등도 포함이 되어 오히려 일반 중국 ETF보다 우리가 아는 IT비중은 줄어듬(대형 IT기업은 생산도 겸하기에 순수 인터넷 서비스 제공 기업만 포함하는 KWEB ETF에서는 제외됨)
4. 즉, IT기업 중 인터넷 기반 회사 (한국에서는 네이버)에 집중적으로 투자하기에는 최적
5. 한 개의 기업이 10%의 비중을 넘지 않도록 리밸런스 시 조정하며 비율은 시총 순으로 반영됨.
1년 간 주가추이
![](https://blog.kakaocdn.net/dn/bMPVaJ/btrCS1fRrZX/S099Kkha71prkklxACyDxK/img.png)
1년 간 주가추이이다. 최근 들어 나스닥이 힘을 못쓰고 있는 건 사실이지만 KWEB ETF는 그것에 비해 1년 간 너무 줄곧 내리막이다.
나스닥의 경우 오르다가 최근 몇 달 새 주가가 빠지는 모습인데도 말이다. 아래는 나스닥 추종 QQQ ETF의 1년 간 주가이다.
![](https://blog.kakaocdn.net/dn/eniBBR/btrCKXtct4T/Oz2KIVb7KoxU6qKwjSfNs0/img.png)
QQQ ETF의 경우 21년 말까지 오름세를 유지하다 22년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등 여러 요인이 겹쳐 현재 주가가 떨어지고 있는 모습이다. KWEB ETF와는 주가그래프 모습이 다른 점을 발견할 수 있다.
조금 더 KWEB ETF의 장기적인 주가 그래프를 살펴보겠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RKLlU/btrCMa6HbA2/ckwj91AHifYcAw5bYASqmk/img.png)
이 그래프는 KWEB ETF가 상장이후의 주가 그래프를 가져온 것입니다. 2018년 중국 기업이 미국증시 진출 및 중국 IT공룡기업들이 등장하며 엄청난 성장을 이루어내었죠
그 후 미중 무역갈등으로 인한 제재가 지속되며 하락한 뒤 코로나 이후 전 세계적으로 주가가 급등했는데요, 특히 KWEB ETF는 거의 2배 가까이 급등한 모습을 보입니다.
현재는 주가 코로나 이전보다 낮게 형성되어있습니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먼저 우크라이나 전쟁이 있습니다.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중국이 러시아에 대한 지원표시를 지속해왔는데요, 이에 따라 미국 증시에 진출해있는 중국기업에 대한 제제 가능성, 상폐 위험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우려가 주가에 지속 반영되고 있습니다.
두 번째로 중국의 도시봉쇄입니다. 중국은 아직 확진자가 발생 시 어떤 도시이든지 간 도시 전체를 봉쇄하고 있는데 이는 국가경제 전체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기업주가에는 당연히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ZeiNB/btrCPHvDP5l/c07lzWBba78rGUA70FSLF1/img.png)
다음 그래프는 중국 기술주 ETF인 CQQQ ETF와 중국 인터넷 기업 KWEB ETF의 수익률 비교입니다.
미국 ETF와 비교는 의미가 없을 것 같은데 2021년까지는 2개의 ETF가 거의 비슷한 수익률을 보이다 2021년부터 격차가 벌어지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CQQQ ETF가 좀 더 넓고 대기업이 많은 반면 KWEB ETF가 세부적인 인터넷 기업만 투자하다보니 중소기업들도 ETF에 포함되어있어 변동성이 더 심한 모습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UolAO/btrCQ6n68Ua/7pSIApKZNBduKG0Qc2zf71/img.png)
1년 전 투자했을 때 수익률은 -57.09%에 달했습니다.
3년간 투자했을 때 연간 수익률은 -11.87%
5년간 투자했을 때 연간 수익률은 -8.43%
백테스트 결과
![](https://blog.kakaocdn.net/dn/bIcO03/btrCKWnx4zH/0Q5UStsnxmujq92ikKv32k/img.png)
포트폴리오1이 KWEB
포트폴리오2가 VOO(미국시장수익률)
기간은 2014~현재까지의 기간입니다.
비록 과거의 성적이 미래의 성적을 보장하지
않지만 무시하지는 못하는 데이터입니다.
|
VOO
|
KWEB
|
최대낙폭
|
-19.58%
|
-66.13%
|
연평균수익률
|
12.22%
|
-0.31%
|
수익률 최악의 해
|
-12.97%
|
69.74%
|
수익률 최고의 해
|
31.35%
|
-48.88%
|
KWEB ETF의 구성 자체가 중소기업이 포함되고 인터넷 위주 기업이다보니 변동성이 매우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HrpNU/btrCMM4MYh2/GR6GlflkQ6EtLTzW0vkVK0/img.png)
최종적으로도 VOO ETF가 수익은 좋습니다.
배당금까지 재투자 시 최종 수익
VOO 26,134$
KWEB 9,738$
KWEB ETF는 오히려 손해를 보았습니다.
포트폴리오 구성
![](https://blog.kakaocdn.net/dn/sgP2x/btrCJb5yeda/DoyWeFEljfGCWF7MeqbO30/img.png)
중국 인터넷 기업 본사가 주로 홍콩에 있다보니 홍콩의 비중이 73%정도입니다.
뒤를 이어 중국본토가 26%이고 그 외에 싱가포르, 미국이 뒤를 이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dBlspK/btrCJaZRY1R/2D5KGpAhZpKkirIWRGWhy1/img.png)
세부적인 섹터를 보면 기술분야가 58%정도이지만 앞서 말했듯이 순수 인터넷 기업을 고르다보니
소매업이나 인터넷쇼핑 분야가 23%정도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MKCRx/btrCOp9kMWl/llErHCy6DPJpLsfatVcHC0/img.png)
세부기업을 보겠습니다.
탄센트가 10.8%이고 그 뒤를이어 인터넷 쇼핑몰기업 알리바바가 9.27%이고 중국의 네이버 바이두도 6.73%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0DUvq/btrCQwUXmAM/NYIuNC8bzBzhS8ztkHFGL1/img.png)
→ Value : 저평가 주식에 투자하여
초과수익을 도모하는가?
: 아님
→ Low Size : 중소기업에 투자하여
초과수익을 도모하는가?
: 평균
→ Momentum : 과거부터 지속적으로 상승해온 주식에 투자하는가?
: 아님
→ Quality : 우량주에 투자하는가?
(부채비율, ROE 등등 고려)
: 평균
→ Yield : 배당에 집중하는가?
: 아님(IT기업은 배당이 낮음)
→ Low Volatility : 저 변동성인가?
: 아님
![](https://blog.kakaocdn.net/dn/bb4Fq1/btrCOKlRPbt/jPJPlTvK4RPmMezEq0Cr11/img.png)
MSCI등급도 BBB등급으로 상위 4번째 단계입니다.
참고로 QQQ가 AA등급 , VOO는 A 등급입니다.
배당금
![](https://blog.kakaocdn.net/dn/OpvI2/btrCQwAFZAg/lSbEDCxKdng7L1pqenmVTk/img.png)
다음은 10개년치의 배당금 지급내역입니다.
2022년에 배당금이 많이 지급되어 배당률이 높이 잡히지만 실제로는 0.2$ 정도로 1% 미만의 배당률입니다.
비슷한 ETF [미국 ETF정리] 한국 제외 신흥국에 투자하는 ETF, VWO ETF 총 정리 (탄센트, 알리바바) |
'ETF 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덜란드 주식에 투자하는 ETF, EWN ETF 총 정리(ASML ETF) (0) | 2022.05.25 |
---|---|
고배당 월배당 ETF, 미국 우선주 ETF, SPFF ETF 총 정리 (0) | 2022.05.23 |
테슬라ETF, 아마존ETF, 미국 자유소비재 VCR ETF 총 정리 (0) | 2021.10.18 |
삼성ETF, 한국ETF로 대기업 주식을 사자, EWY ETF 총 정리 (0) | 2021.10.12 |
미국 항공주 ETF, 항공사 주식을 사자 JETS ETF 총 정리 (1) | 2021.10.11 |